[백준] 1240 파이썬
문제 백준 1240 (골드 5) 백준 1240 가중치가 있는 트리에서 두 노드 사이의 거리를 출력하는 문제였다. bfs 혹은 dfs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 가능해 보였다. 내 코드 bfs를 통해서 구현해 보았다. 시작 노드부터 bfs를 돌면서 타겟 노드가 나오면 그 거리를 리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mport...
문제 백준 1240 (골드 5) 백준 1240 가중치가 있는 트리에서 두 노드 사이의 거리를 출력하는 문제였다. bfs 혹은 dfs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 가능해 보였다. 내 코드 bfs를 통해서 구현해 보았다. 시작 노드부터 bfs를 돌면서 타겟 노드가 나오면 그 거리를 리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mport...
Chapter3 명령어 3-1 소스 코드와 명령어 고급 언어 : 사람을 위한 언어(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 저급 언어 : 컴퓨터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 기계어 : 0과 1의 명령어 비트로 이루어진 언어 어셈블리어 : 기계어를 읽기 편한 형태로 번역한 언어 컴파일 언어 : 컴파일러...
문제 백준 2458 (골드 4) 백준 2458 학생들의 키를 비교한 결과를 통해서 전체에서 키가 몇번째인지 알 수 있는 학생의 수를 구하는 문제였다. 한달쯤 전에 풀었던 문제였는데 어떻게 접근해야될지 고민이 많았던 것이 지금까지도 기억이 났다. 입력이 최대 500이여서 시간 제한은 널널한 문제였다. 내 코드 두 개의 dfs ...
Chapter2 데이터 2-1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비트 : 0과 1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바이트 : 8개의 비트를 묶은 단위 워드 :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 이진법 : 0과 1만으로 모든 숫자를 표현 (십진수와의 구분을 위해 이진수 앞에 0b를 붙임) 이진수의 음수 ...
문제 백준 2457 (골드 3) 백준 2457 3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꽃이 항상 피어 있어야 하지만 전체 꽃의 개수는 가장 적어야 하는 문제였다. 날짜 문제여서 달마다 다른 일수를 어떻게 저장해두어야 하나 고민하였는데 굳이 저장할 필요가 없어보였다. 단순 구현으로 풀 수 있는 문제처럼 보여서 시도해보았다. 내 코드 ...
7월부터 8월까지 두달간 카테부 팀원들과 함께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라는 책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진행방식은 아래와 같았다. 💡 진행방식 일일 스터디 시간 및 데일리 활동 매주 월, 목 17:00~ (약 1시간 30분 진행 예정) ...
문제 백준 1865 (골드 3) 백준 1865 처음 읽었을 때는 문제가 잘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입력 변수들을 처리하다보니 이해가 갔다. 음의 가중치가 있는 그래프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였다.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감이 잘 잡히지 않아서 벨만-포드 알고리즘을 찾아보았다. 벨만-포드 알고리즘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까지의 최...
문제 백준 2660 (골드 5) 백준 2660 어제 풀었던 백준 1389 문제와 굉장히 유사한 문제였다. 각 회원별로 다른 사람과의 이어져있는 단계를 구해야 했다. 회원수가 50명 이하 시간 제한은 1초라 시간 제한은 널널한 문제였다. 내 코드 BFS를 활용하여서 코드를 작성하려다가 이틀 전에 공부한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을...
문제 백준 1389 (실버1) 백준 1389 문제가 굉장히 길어서 바로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지만 읽어보니 간단했다. 모든 사람들이 6단계 이내로 연결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았다. 유저의 수가 최대 100명 관계의 수가 최대 5000명에 시간 제한이 2초여서 시간 제한은 널널한 편이였다. 내 코드 BFS...
문제 백준 11403 (실버1) 백준 11403 처음 봤을 때는 어떻게 푸는지 감이 안와서 고민해봤다. 정점의 개수가 100개 이하라는 것에서 삼중 for문까지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을 검색하여서 찾아봤다.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그래프에서 가능한 모든 노드 쌍에 대해 최단 거리를 구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