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아이를 위한 맞춤형 동화 산타, 맛동산🎅 사용자 수요 조사

아이를 위한 맞춤형 동화 산타, 맛동산🎅 사용자 수요 조사

기존의 기획 및 문제 가능성

기존 맛동산 프로젝트의 가장 큰 목적은 교육적인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아이 맞춤형 동화를 제공하자는 것이었다.

재미 뿐만 아니라 언어 발달과 교육적 가치를 고려하여, 나이에 맞는 어휘와 주제를 활용하여 동화를 제공하자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부분에 추가적으로 TTS 기능, 라이브러리 기능, SNS 기능을 더해 기존의 서비스들과의 차별점을 가져가는 방향으로 기획을 정하였다.

Image

  • 기존 맛동산 프로젝트의 플로우 다이어그램

기획을 진행하면서 부모님들이 실제로 맞춤형 동화에 대한 니즈가 있는지, 현재 기획에서 어떠한 개선점이 있을지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대부분이 대학생, 혹은 취준생으로 이루어진 팀에서 어린 자녀를 가진 부모님들의 니즈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래서 결국 팀원들과 함께 직접 길거리를 돌아다니며 사용자 수요 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길거리 설문을 통한 사용자 수요 조사 진행

사용자 수요 조사 방법으로는 점심시간에 직접 판교역 근처를 돌아다니면서 직접 길거리 설문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정하였다.

Google Forms를 통해서 설문지를 만들어두고 해당 링크로 QR을 만들어서 사람들께 부탁드리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총 이틀간 길거리 설문을 진행하였다.

Image

나갈 때에는 쉽게 생각했는데 막상 나가보니 정말 쉽지 않았다.

우선은 금같은 점심시간에 5분 정도의 설문을 부탁드리는 게 정말 쉽지 않았고, 생각보다 우리가 원하는 타겟 나이대의 자녀를 가진 부모님들을 찾는 것도 쉽지 않았다.

그리고 자녀를 두셨냐는 질문 자체가 조금은 실례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부딪히는 수밖에 없었다..

결국 다행히도 이틀간 30여명의 자녀를 둔 부모분들을 조사할 수 있었다.


사용자 수요 조사 결과

사용자 수요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아이의 연령을 선택해주세요.

    Image

  2. 아이가 동화책 읽는 것을 좋아하나요?

    Image

  3. 집에서 아이와 동화책을 읽는 빈도를 선택해주세요.

    Image

  4. 동화책을 읽어줄 때의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Image

  5. 자주 이용하는 교육용 매체를 선택해주세요.

    Image

  6. 자녀에게 영어 교육을 하고 있나요?

    Image

  7. 내 아이를 위한 맞춤형 디지털 동화 서비스가 있다면 이용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Image

  8. 서비스에 있으면 좋을 것 같은 기능을 선택해주세요.

    Image

  9. 서비스를 이용하신다면 주된 목적이 무엇일까요?

    Image

설문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점은 생각보다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동화를 읽어주고 활용한다는 점이었다.

또한 부모님들이 언어 발달이나 학습용 기능에 초점을 맞춘 컨텐츠에 확실히 관심을 가지고 있고 니즈가 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Image

마지막에 서비스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적어달라는 칸을 두었는데 많은 부모님들께서 아이들의 디지털 기기 노출에 대한 염려를 적어주셨다.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었다. 아마 디지털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라서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을 하였던 것 같다.

많은 고민을 하였지만 결국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고자 다시 기획 회의를 진행하였다.

디스플레이를 통한 동화 제공보다 동화 TTS 제공에 더 집중하자, 어플리케이션 시간 제한 기능 등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있었지만,

결국은 어플리케이션 전용 인형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전용 인형을 통해서 아이에게 동화를 읽어주고, 아이와 인형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아이의 디지털 기기 노출을 줄이고, 인형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더욱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결정을 하면서 가장 걱정이 되었던 부분은 팀 내에 하드웨어를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조금더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위해서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되었고, 다같이 학습을 진행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약속하였다.


마치며

직접 이렇게 길거리에서 설문을 진행하며 사용자 수요 조사를 한 것은 처음이었는데 생각보다 정말 쉽지 않았지만, 막상 이렇게 하고나니 조금 더 서비스에 애정을 가지게 되었다.

또 이렇게 직접 부모님들의 의견을 들어보면서 우리 서비스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개발보다 한 발자국 뒤에서 서비스에 대해 깊게 생각해볼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다.

이를 통해서 하드웨어 개발이라는 큰 산이 생기기는 하였지만 두달간 열심히 개발한다면 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야만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